구글 키워드 검색량 조회를 위해 'Google Ads'를 이용하는 방법은 잘 알려져 있습니다.
구글 키워드 플래너라는 것을 통해 내가 검색하고자 하는 키워드에 대해 미리 알아보고 해당 키워드를 선택해 글을 작성할 수 있는 것입니다.
Google Ads의 키워드 플래너 사용법은 다른 포스팅에서 좀 더 자세히 소개하기로 하고, 이번 포스팅에서는 구글 키워드 검색량 조회를 할 때 사용할 수 있는 리서치 툴에 대해 설명해 보고자 합니다.
예를 들어 내가 온라인 마케팅에 관한 글을 쓰고자 한다고 가정하겠습니다.
이때, 의문이 드는 것이 '온라인 마케팅'이라는 키워드로 글을 작성하는 것이 좋을지... 혹은 '디지털 마케팅'이라는 키워드로 글을 작성하는게 좋을지에 대한 판단입니다.
먼저, 구글 키워드 플래너에서 '온라인 마케팅'과 '디지털 마케팅'이라는 단어를 검색해 보았습니다.
위와 같이 크지 않은 차이로 '온라인 마케팅' 이라는 키워드가 좀 더 많이 검색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렇다면, 저는 당연히 '온라인 마케팅' 이라는 키워드를 사용하여 글을 작성하는 것이 유리한 것일까요?
그에 대한 대답은 확실하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내 블로그의 신뢰도나 지수가 저 키워드로 글을 작성했을 때 구글 상위랭크가 될 확률이 얼마나 있는지 판단이 잘 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이 부분은 각자의 블로그 상태에 따라서 어떤 키워드를 노릴 수 있을지에 대한 판단을 하셔야 합니다.
이것은 블로그 운영기간 및 방문자, 유효 키워드, 백링크 등 여러가지 요인들이 작용하는 것이라서 지속적인 테스트를 통해 가늠해 볼 수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어쨌든...
이렇게 저렇게 '온라인 마케팅' 이라는 키워드를 설정해서 글을 쓰기로 했다고 가정하겠습니다.
구글 SEO를 위한 글을 작성할때 중요한 부분이 핵심 키워드도 있지만, 연관 키워드를 선별하여 글에 잘 녹여내야 합니다.
또한, 그렇게 선정된 키워드는 구글 광고단가를 가늠하여 선정하셔야 추후 구글 애드센스의 광고를 독자가 클릭시 좀 더 높은 단가를 받을 수 있게 됩니다.
이렇게 핵심 키워드 뿐만 아니라 연관 키워드까지 한꺼번에 조회해서 구글 SEO 글쓰기를 할 때 참고할만한 키워드 리서치 툴이 있어 소개해 드리려 합니다.
구글 키워드 리서치 툴 - Ubersuggest
여기서 소개해 드릴 구글 키워드 검색량 조회를 할 툴은 'Ubersuggest'라는 사이트입니다.
구글 키워드 플래너에서 제공하는 내용 외에 키워드 조회시 연관 키워드가 한꺼번에 조회가 되며, 해당 키워드에 대한 검색량, CPC 광고단가, 키워드 광고의 경쟁정도, SEO의 경쟁정도를 파악하실 수 있습니다.
또한, 해당 키워드 검색시 구글 검색결과에 노출되는 100개의 웹사이트 내역도 한눈에 볼 수 있습니다.
그 이용방법에 대해 하나씩 소개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영어로 되어 있는 외국 서비스이다 보니 한국에서의 한국어 검색량을 살펴보기 위해서는 select box를 한국어로 선택하셔야 합니다.
드롭다운에서 'Korean / Korea'를 선택하시거나 일일이 찾기 힘들다면 검색어로 'Korea'를 입력해 보면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예시를 위해 여기에서 '온라인 마케팅' 이라고 입력하고 'SEARCH'를 선택해 보면 해당 키워드에 대한 월간 키워드 조회수를 비롯 SEO, 광고 경쟁도, CPC 광고단가 등이 표시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여기에서 왼쪽에 있는 메뉴인 'Keyword Ideas'를 선택하면, 해당 키워드를 비롯하여 연관 키워드의 항목이 나열됨을 확인할 수 있으실 겁니다.
그리고, 각각의 키워드별로 상세 내용이 나타나게 됩니다.
여기에서 메인 키워드를 잡고, 연관 키워드 중에서 2~3개 정도를 선택해서 조합을 해 제목과 본문을 작성하면 됩니다.
(제가 이 글을 쓸때 사용한 방법은 하단에 따로 설명하겠습니다.)
이렇게 나타난 키워드에서 구글 키워드 조회수 등 검색량 뿐만 아니라 SD(SEO Difficulty) 등을 고려하고, 내가 작성하고자 하는 글의 주제와 맞춰 키워드를 선정합니다.
이때, 또 하나 주의할 사항은 'CPC'에 대한 사항입니다.
키워드 선택시 CPC 단가가 높은 키워드 위주로 조합을 해야 나중에 광고에서 조금 유리합니다.
위의 리포트에 보시면 광고단가가 '\0' 인 키워드가 있는데 그런 키워드는 선택할 필요가 없습니다.
해당 상태에서 경쟁 키워드인 '디지털 마케팅'에 대한 사항도 한번 검색해서 비교해 보십시오.
이 2가지 데이터를 보고 '온라인 마케팅'으로 갈 것인지 '디지털 마케팅'으로 갈 것인지를 선택해야 합니다.
이를 선택할 때는 내 블로그에서 다른 글을 썼던 키워드를 검색해 보고, 오른쪽에 나와있는 100위 랭킹 안에 들어가고 있는지 없는지 등을 따져봐서 선택하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초기 블로거들은 거의 상위를 잡지 못할 것이지만, 꾸준히 글을 쓰다 보면 구글의 1~2페이지 안에 들어가는 글이 나오게 될 것입니다. 이렇게 랭크된 키워드 조회수 등을 바탕으로 경험으로 가늠해 보는 수밖에 없습니다.(가늠하는 것이지 100% 되는 것은 아닙니다.)
구글 SEO를 위한 글쓰기 방법
마지막으로 제가 이 글을 쓰게 되면서 구글 키워드 검색량 조회를 해 본 항목입니다.
이 글을 바탕으로 키워드를 선별하였고, 구석구석 보시면 저기에 노출된 키워드를 최대한 활용하여 글을 작성했습니다.
단순히 메인 키워드 하나를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연관 키워드를 적절히 활용하면서 글에 녹여 낸 것입니다.
이는, 구글 키워드 플래너만으로 활용하기에는 조금 번거롭기 때문에 이렇게 Ubersuggest 같은 키워드 리서치 툴을 활용한 것입니다.
키워드에 대한 이해가 어느정도 있는 분이라면 지금 이 마지막 한 문단에도 몇개의 키워드를 녹여 냈음을 금새 아실 수 있을 것입니다.
억지로 키워드를 껴 넣기 위해 어색한 글을 쓰시면 안됩니다. 구글의 검색엔진은 Context 파악을 훌륭할 정도로 하기 때문에 억지스러운 글을 쓰지 않아도 됩니다.
앞으로는 전략적으로 글을 작성하셔서 같은 시간과 노력에 비해 좀 더 좋은 결과를 얻으셨으면 좋겠습니다.
'Digital Marketing > Blog'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이버 애드포스트 수익 공개 및 현금 전환하는 방법 (1) | 2019.02.26 |
---|---|
네이버 애드포스트 이용제한 및 게재제한 해제 신청 하는 방법 (0) | 2019.01.08 |
블로그마케팅 꼭 해야 하는 걸까? (0) | 2018.10.24 |
워드프레스 홈페이지 여부와 워드프레스 테마 확인하는 방법 (0) | 2018.10.10 |
블로그 포스팅 시 스케치나 포토샵 없이 캡쳐한 이미지를 블로그 디자인에 맞게 손쉽게 바꾸는 법 (0) | 2018.08.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