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gital Marketing

알쏭달쏭 자주 쓰는 온라인 광고 용어 간단 정리

by 둠두미 2017. 9. 25.





온라인 광고를 하려 하면 대부분 영어 약자로 된 광고용어들을 접하게 되는데... 이 중 흔하게 접하는 용어들을 간단히 정리해 보고자 합니다.



CPC   Cost Per Click


사용자가 광고를 클릭했을 때 수수료를 지급하는 방식입니다.

구글 에드센스나 네이버 검색광고 같은 광고 형태로 단순 노출이 아닌 클릭시 지급되며, 수수료는 광고 유형에 따라 단가가 다릅니다.



 

CPA   Cost Per Action


사용자가 광고를 통해 회원가입을 한다거나 이벤트 등의 활동을 할 경우 이에 대한 수수료를 지급하는 방식입니다.

간혹 자동차 보험비교를 하라거나 대출 조건 비교를 하라거나 해서 회원가입을 유도하거나 실제 상품과 연계 시키는 방법 등으로 많이 사용됩니다.



 CPM   Cost Per Mile


광고가 1,000번 노출되는 데에 따른 수수료를 지급 하는 방식입니다.

클릭수에 대한 보장은 없지만 노출 횟수에 대한 보장은 있는 방식이라 생각하면 되겠네요.

월간, 연간 정액제로 과금 방식을 정하며 파워블로거 등과 이런 계약을 채결하기도 합니다.



 CPS   Cost Per Sale


사용자가 광고를 클릭하여 상품을 구매하거나 유료 멤버십에 가입하거나 하게 되면 일정 수수료를 지급하는 방식입니다.

블로그를 쇼핑몰과 연계하여 상품을 소개하고 구매 유도 하여 판매량을 높일 때 이런 방식을 많이 사용합니다.



 CPI   Cost Per Install


CPA와 같은 개념의 방식입니다.

일반적으로 앱이나 게임을 다운로드 받게 할 때 많이 쓰이며, 이를 통해 앱스토어 랭킹을 올려 상위 노출을 하는데 많이 사용합니다. 



 CTR   Click Through Ratio


노출 대비 클릭수. 즉 클릭률을 의미합니다.

광고가 몇번 노출이 되었고, 그 중에 실제 몇번 클릭을 했는지의 비율로 수수료를 책정하는 방식입니다.

(클릭수/노출수) * 100 의 공식으로 책정됩니다.



이 외에도 많지만, 가장 흔히 쓰는 방식이므로 이정도만 알아 놓아도 좋을 것 같습니다.


 

댓글